1) 시니어 의료비 감면
1) 노인 외래 정액제
- 대상: 만 65세 이상
- 별도의 신청없이 대부분 자동 적용
구분 | 본인부담금 범위 |
---|---|
의원 (처방전 포함) | 1,500원 ~ 15,000원 |
병원급 | 1,500원 ~ 15,000원 |
종합병원 | 2,000원 ~ 15,000원 |
상급종합병원 | 3,000원 ~ 20,000원 |
*** 검사, 주사, 치료재료 비용 포함, 초과분은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
*** 약값은 별도 부담, 약국에서도 본인 부담금 낮아짐
2) 만성 질환 관리제
- 고혈압, 당뇨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, 정기검진과 상담을 저렴한 비용 가능
- 의사와 상담후 참여 의료기간에서 별도의 동의서 작성필요
3) 본인부담 상한제
- 병원에서 청구할때 자동 감면
- 사후에 환급 신청 할 경우: 진료 영수증, 병원비 내역서 필수
항목 | 내용 |
---|---|
대상 | 연간 의료비 부담이 소득 대비 과도한 경우 |
내용 | 연간 본인부담금이 상한금액을 초과하면 초과분 전액 환급 |
3)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의료비 경감
- 장기요양 1~ 5등급, 인지지원등급 인정시
- 요양병원 본인부담금 20% ---> 10% 감경
- 월 최대 140만원 상당 서비스 지원
- 방문 간호, 목욕, 요양시설 이용시 본인부담금 15%
- 장기 요양 등급 판정은 국민 건강 보험 공단에 신청
4) 차상위 본인부담금 경감 대상자
-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
- 본인 부담금 10 ~ 15 % 수준으로 경감
- 거주지 읍, 면,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
5) 기초 생활 수급자 의료비 경면
- 병원 진료비 전액 무료
- 단, 소액 본인 부담금만 있음
6) 암, 희귀난치 질환, 중증질환 산정 특례
- 본인 부담금 5~ 10% 감면
- 건강보험공단 에서 신청
7) 백신, 검진, 감면 카드
- 무료 독감 예방접종: 매년 가을, 보건소와 병원
- 국가무료 건강 검진: 2년마다 1번 검진
- 경로우대 복지 카드: 병원, 약국 일부 할인
2) 시니어 의료비 감면 신청 방법
-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, 특히,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 계층
- 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신청--> 본인 부담 상한제, 산정 특례 신청